증여세 계산기

2025. 9. 1. 21:56·계산기 & 자료실

증여세 계산기 공개 🎁🧾

증여는 금액, 관계, 최근 10년 합산 규정, 세대생략 할증까지 꼼꼼히 따져야 해서 매번 계산이 번거롭습니다. 이 증여세 계산기는 그런 복잡한 규칙을 한 화면에서 처리해, 과세가액 → 과세표준 → 산출세액(누진공제 반영) → 최종 세액을 빠르게 추정할 수 있도록 만든 도구입니다.


화면 구성 & 핵심 기능

1) 관계/수증자 상태 설정

  • 증여자와의 관계: 배우자, 직계존속(부모‧조부모), 직계비속(자녀‧손주), 기타 친족, 그 외
    → 증여재산공제 한도 안내가 함께 표시됩니다
    (예시: 배우자 6억, 직계존속 5천만 (미성년 수증자 2천만), 직계비속 5천만, 기타 친족 1천만, 그 외 0)
  • 수증자 상태: 거주자/비거주자, 성인/미성년
  • 세대생략(손주 등) 체크:
    세대생략 시 할증세 자동 반영
    (일반 30%, 미성년이면서 20억 초과분은 40% 할증)

2) 증여 재산 및 가산‧차감 항목

  • 증여 재산가액: 증여 대상 자산의 평가가액
  • 비과세‧불산입: 생활비‧교육비, 공익출연 등 법에서 적정 범위 내 과세 제외 항목
  • 채무인수액: 임대보증금, 담보채무처럼 수증자가 함께 떠안는 부담부 증여 채무
    → 순증여가액 계산 시 차감 반영
  • 최근 10년 동일인 증여가액(가산대상):
    같은 증여자로부터 10년간 받은 금액의 합계를 입력
    (증여자가 직계존속이면 그 배우자에게서 받은 금액도 합산, 합계가 일정 금액 이상이면 과세가액에 가산)

3) 공제/세액공제

  • 공제 (증여재산공제·혼인/출산): 관계·연령에 따른 기본 공제, 혼인/출산 관련 공제 항목을 요약 반영
  • 세액공제(선택 입력): 제도별 세액공제나 기납부세액 등을 간이 반영

4) 결과 산출

  • [세액 계산하기] 클릭 → 과세가액, 과세표준, 산출세액(누진공제), 세대생략 할증, 지방세까지 최종 예상 세액을 한 번에 확인

하단 안내: 실제 신고는 재산평가·특례·가산세·연부연납 등 세부 규정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므로 참고용으로 보세요.


증여세 계산기
증여세 계산기 바로가기 (이미지클릭)

계산 방식 요약

  1. 순증여가액 = 증여 재산가액 − 비과세‧불산입 − 채무인수액
  2. 과세가액 = 순증여가액 + 최근 10년 동일인 증여 합산분(가산대상)
  3. 과세표준 = 과세가액 − 증여재산공제(관계·연령별 한도) − 기타 적용 공제
  4. 산출세액 = 과세표준 × 누진세율 − 누진공제
  5. 세대생략 할증세(해당 시) + 지방세 반영 → 최종 납부세액

포인트

  • 관계 선택이 공제 한도를 바꾸고, 세대생략 여부가 할증세를 만듭니다.
  • 최근 10년 합산은 꼭 입력해야 정확한 결과가 나옵니다.
  • 부담부 증여(채무 인수)는 과세표준을 줄일 수 있지만, 양도세 이슈가 따로 생길 수 있어 주의가 필요합니다.

이렇게 입력하면 정확도가 높아집니다

  • 재산가액: 시가(감정가/실거래가 등 법정 평가 기준) 기준으로 입력
  • 비과세‧불산입: 생활비‧교육비는 통상 필요 범위 내만 인정 → 과다 입력 지양
  • 채무인수액: 등기부/계약서 기준 실제 부담할 채무만 반영
  • 최근 10년 증여분: 동일 증여자(필요시 그 배우자 포함)로부터 받은 금액을 누락 없이 합산

활용 시나리오

  • 부모→자녀 증여 설계: 성인/미성년, 금액대별 세부담 비교
  • 손주에게 바로 증여(세대생략) vs 자녀→손주 2단계 증여 비교
  • 혼인/출산 시 공제 활용으로 세부담 최소화
  • 여러 번 나눠주기 vs 한 번에 주기: 10년 합산 규정 기준으로 전략 세우기

자주 묻는 질문 3가지

Q1. 10년 합산 규정은 왜 필요한가요?
A. 동일 증여자로부터 10년 내 받은 증여를 합산해 누진세율을 적용하기 때문입니다. 같은 사람에게 여러 번 나눠 받아도 세부담이 줄지 않을 수 있어요.

Q2. 미성년 손주에게 주면 할증이 붙나요?
A. 네. 세대생략은 원칙적으로 30% 할증이며, **미성년이면서 고액(일정 기준 초과)**인 경우 40% 할증이 적용됩니다. 계산기에서 자동 반영합니다.

Q3. 생활비‧교육비는 모두 비과세인가요?
A. 통상 필요 범위의 실제 지출만 비과세 취급됩니다. 자산 취득성 지출(예: 집 전세자금, 자동차 구입)은 비과세가 아닐 수 있어 주의하세요.


한 번에 따라 하는 사용법

  1. 상단에서 관계/수증자 상태/세대생략 여부 선택
  2. 재산가액, 비과세‧불산입, 채무인수액, 최근 10년 합산분 입력
  3. 공제/세액공제 섹션에서 해당되는 항목만 체크
  4. [세액 계산하기] 클릭 → 결과 확인
  5. 금액이나 관계를 바꿔 여러 시나리오를 빠르게 비교

바로가기

👉 증여세 계산기 바로가기


마치며

증여세는 관계·연령·10년 합산·세대생략처럼 변수들이 많아 감으로 판단하기 어렵습니다. 이 증여세 계산기로 먼저 큰 그림을 확인하고, 필요하면 전문가 검토를 거치면 실수 없이 안전하게 설계할 수 있습니다.
실무 감각으로 만든 계산기, 지금 바로 시뮬레이션해 보세요!

저작자표시 비영리 변경금지 (새창열림)

'계산기 & 자료실' 카테고리의 다른 글

재산세 계산기  (0) 2025.09.02
상속세 계산기  (0) 2025.09.01
법인세 계산기  (1) 2025.09.01
연금소득세 계산기  (1) 2025.09.01
양도소득세 계산기  (2) 2025.09.01
'계산기 & 자료실' 카테고리의 다른 글
  • 재산세 계산기
  • 상속세 계산기
  • 법인세 계산기
  • 연금소득세 계산기
MONEYCUBE
MONEYCUBE
ocean of ideas
  • MONEYCUBE
    머니큐브
    MONEYCUBE
  • 전체
    오늘
    어제
  • 공지사항

    • 국가지원금 가이드북 무료배포
    • 머니큐브, 돈을 입체적으로 바라보는 시작
    • 분류 전체보기 (23)
      • 3분 선물 시황분석 (6)
      • 정책지원금 (1)
      • 계산기 & 자료실 (12)
      • 인사이트 (4)
  • 링크

    • 계산기포털
    • 빠꼼이닷컴
    • 고래형제
  • 인기 글

  • 최근 댓글

  • 최근 글

  • 태그

    국내선물
    이커머스아이템
    장기렌트계산기
    계산기포털
    증여세계산기
    나스닥
    국가지원금정책
    2025국가지원금가이드북
    해외선물
    코스피시황
    연금소득세계산기
    2025국가지원금
    온라인강의팔이
    자동차금융계산기
    이커머스전략
    온라인계산기
    온라인강의판매
    자동차할부계산기
    운용리스계산기
    디지털노마드
    종합소득세계산기
    아이디어
    시황
    40대여자돈벌기
    코스피
    신차할부계산
    법인세계산기
    상속세계산기
    웹계산기
    근로소득세계산기
  • hELLO· Designed By정상우.v4.10.4
MONEYCUBE
증여세 계산기
상단으로

티스토리툴바